[Network] 스위치 테이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스위치는 시스템 간 원활한 통신을 위해 주소 테이블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일 스위치에 서버가 연결되어 있다면, 스위치 메모리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것입니다.

 

1번 포트

 

2번 포트

서버의 MAC주소

3번 포트

 

4번 포트

 

 

 

여기에 클라이언트의 랜 케이블을 스위치의 3번 포트에 꽂으면, 스위치의 메모리 정보가 다음과 같이 바뀝니다.

1번 포트

 

2번 포트

서버의 MAC 주소

3번 포트

클라이언트의 MAC 주소

4번 포트

 

 

 

 

너무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스위치의 메모리에 포트별로 MAC 주소가 매칭된 테이블이 존재하고, 이것이 갱신된다는 사실은 아주 중요합니다. 이처럼 당연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스위치의 메모리에 3계층 정보인 IP 주소와 MAC 주소가 다음과 같이 매칭되어 저장된다고 착각합니다.

1번 포트

 

192.168.0.200

서버의 MAC 주소

192.168.0.3

클라이언트의 MAC 주소

4번 포트

 

 

 

2계층 장비인 스위치는 IP 주소를 기억하지 않습니다.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ARP 리다이렉트(스푸핑) 실습  (0) 2020.05.23
[Network] Reverse Connection 이란?  (0) 2020.05.23
포트 List  (0) 2019.12.01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